분류 2009~2016

`3대 위험요소`.. 가계부채 1300조 시대의 숙제...2016.11.0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용오름 아이피 조회 400
작성일

본문

가계부채 증가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1300조원에 다다른 가계부채 총량도 문제이지만 생계형 신용대출
이나 저소득층과 개인사업자들의 대출 증가세가 빨라지고 있어 가계부채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은행은 올해 1~8월 가계부채 증가세가 예년의 2배 이상이라고 밝히면서, 직전 4년 동안
(2012~2015년)엔 매년 평균 30조원 정도씩 늘던 것이 올 들어 68조원 늘었다고 밝혔다.
또 가계부채가 시중은행보다는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을 통해 크게 늘고 있다고 했다.
올해 1~8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조원 정도 줄었다.
반면 비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은 15조원가량 늘었다.

대한민국의 가계부채는 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하며,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생계형
대출이 증가하고 저소득층과 자영업자 대출의 수직적인 급증세가 앞으로 대한민국이 풀어야 할 숙제인
것이다.

1. 2금융권의 생계형 신용대출 증가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말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2금융권에서 빌린 생계형 신용대출은 163조4342억원이다. 
담보가 없고, 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최근 1년 사이에 20조원 늘어
급증하고 있다. 2007년 말 비은행권의 기타대출 잔액이 63조3634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0년도 안 돼
100조원 늘어난 것이다.

가계부채의 폭증을 막기 위해 정부가 은행 대출을 조이자, 바로 2금융권 대출이 늘어나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며 통상 비은행 대출금리는 은행대출의 2배 이상인데,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금리 인상기로
접어들면 서민들이 빚을 못 갚는 경우가 속출할 수 있다 경고하는 것이다.

2.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 폭증

무엇보다 저소득층의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2008년 소득 하위 10%의 가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09배였는데, 2014년에는 7.85배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저소득층의 부채 비율이 2008년만 해도 연 소득의 2배를 약간 넘는 수준이었는데, 2014년에는 연소득의 7배를
넘었다는 뜻이다. 반면 소득 상위 10%인 고소득층의 가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16배에서 1.78배로 줄었다. 

이처럼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의 부채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서민들이 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을 만큼
살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금융당국이 햇살론과 같은 정부 정책자금을 활용해 서민들에게 대출을
해주다 보니 저소득층에서 대출이 증가한 부분도 있다는 분석이다. 

3. 가계부채의 숨은 폭탄 개인사업자 대출

국내 가구의 25%를 차지하는 개인사업자들이 빌린 사업자대출이 가계부채의 숨은 폭탄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 6월 말 현재 12개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은 총 185조5000억원으로 시중 은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에 달한다.

개인사업자 대출은 내수 경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부동산 및 임대업에 39.4%, 도소매, 숙박, 음식점에 26.5%
등이 몰려 있다보니 경기가 안좋아지거나 부동산 시장이 얼어 붙으면  바로 위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퇴직한 50~60대 자영업자가 갖고 있는 부채의 경우 은행이 아닌 2금융권에서 빚을 낸 경우가
많아 우려되고 있다. 또한 자영업자의 연령대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을 따져 보니 50대가 2.86배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2009~2016 / 14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