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커뮤니티

김해 5월 아파트 거래 건수 사상 최저 기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용오름 아이피 조회 1,165 댓글 4
작성일

본문

댓글도 못쓰게하지, 글을 막아서 못읽게 하지, 여기는 오로지 부동산, 아파트 상승, 폭등 한다는 말박에 쓸 수가 없고, 상승한다는

자작글은 어떤 글이든 상관없고, 하락하고, 폭락한다는 글은 막거나 삭제하거나 하니, 이런 커뮤니티를 왜 만드시는지 그리고,

제대로 관리를 하려면 글을 쓰는 위에 항상 볼 수 있게 항목별로 적어 놓으면 되는데도, 운영자 마음대로, 생각대로 욕설, 저속

한 경우는 삭제한다고 한번씩 언급하고, 그럴 필요가 뭐 있어요. 항상 볼 수 있게 표시하면 되는데도, 그리고 판단은 여기 참여자

들이 하는 것인데도 갑질을 하면서 참여해서 자신이 의견을 달고...그리고 나중에 할말이 없으면 지난정부 9년간 뭐했느냐는

이상한 논리를 갖다 붙이내요. ㅎㅎㅎ

그리고 대부분 IMF나 카드사태, 금융위기 등 아주 부채가 많이은 예외적이었던 경우는 전혀 이야길 안하죠. 한국에서 가장 큰

사건이 6.25외에는 IMF로 현재도 이모양으로 비틀거리고, 노숙자다, 자살이다 이런 극단적인 경우로 하락한 내용에 대해서는

전혀 이야기를 안한다는데 맹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8932_28979_354.jpg

국토교통부 ‘월별자료’에 311건
2006년 첫 공개 이후 가장 낮아
1~5월 2313건으로 2015년 절반
매매가도 20주 연속 하락세 지속

김해의 5월 아파트 거래 건수가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거래 부진 때문에 아파트 매매가도 소폭 하락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토교통부 인터넷 홈페이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월별자료'에 따르면 김해의 5월 아파트 거래 건수는 311건

그쳤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월별자료를 공개한 2006년 이후 최저 기록이다.
 
김해의 연도별 5월 아파트 거래 건수를 보면 2006년 481건, 2007년 447건, 2008년 1022건, 2009년 651건, 2010 813건, 2011년 461건,

2012년 369건, 2013년 983건, 2014년 786건, 2015년 778건, 2016년 553건을 기록했다. 2012년 5월 369건을 기록한 적이 있었지만,

300건 초반대로 떨어진 경우는 올해가 처음이다.
 
5월뿐만 아니라 올해 1~5월의 아파트 거래 건수도 2012년 이래 5년만에 가장 적었다. 2014년 4936건이었던 1~5월 아파트

거래 건수는 2015년 4334건, 2016년 2645건으로 해마다 줄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줄어 2313건에 그쳤다. 지난해보다는

332건(13%) 줄었고, 2015년과 비교할 경우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같은 거래 건수는 2012년 1~5월 2028건 이래 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러한 아파트 거래 부진은 매매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김해의 아파트 매매가는 소폭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감정원의 주간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김해의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 2월부터 20주 연속 하락해 6월

셋째주(19일) 가격지수는 98.30(2015년 6월 100 기준)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신혼부부나 미취학아동을 둔 젊은 부부 등 봄철 이사 실수요자들이 부동산을 찾는 경우가 줄어든 게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매매 문의조차 실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계동의 공인중개사는 "매매 문의도 줄고, 실거래도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무실 유지하기도 어려울 정도"라고 하소연했다.

어방동의 공인중개사도 "올해 초 부산의 부동산업자들이 내동, 어방동의 중소형 아파트를 '갭 투자'해 거래가 일부 일어났지만

실입주자의 거래는 예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갭 투자란,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적은 아파트를 전세금을 안고

사들여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투자를 말한다.
 
극심한 거래 부진이 지난해 장유동, 진영읍 등 신도시에서 시작한 매매가 하락현상을 내외동, 삼계동 등으로 확산시키는 것은 아닌지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중산층 실수요자들이 선호했던 내외동 중소형 아파트의 매매가는 신세계백화점 입주 덕분에 소폭 상승

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거래가 부진한 상황이라고 한다.
 
내동의 공인중개사는 "내외동 아파트 거래도 전반적으로 부진하다. 처음 내놓는 가격에 팔리는 경우가 없어 할인을 해야 거래가

이뤄진다. 극심한 거래 부진이 지속된다면 시세 자체가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거래 부진을 일시적 현상으로 보기 힘들다는 게 부동산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또 내년부터 주촌선천과 율하2택지

개발지구 등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입주를 시작할 경우 기존 아파트 가격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른 연도별 5월 김해지역 건수는
2006년.. 481건
2007년.. 447건
2008년.. 1,022건
2009년.. 651건
2010년.. 813건
2011년.. 461건
2012년.. 369건
2013년.. 983건
2014년.. 786건
2015년.. 778건
2016년.. 553건
2017년.. 311건
이라고 한 언론에서 2017년 5월 거래 건수가 사상 죄저 수준을 기록했다고 기사를 작성 하였는데요.

이는 연도별 부동산 정책과 입주시점 등에 따라 거래량이 변화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간과한 것으로
2017년 5월 거래 건수는 불확실한 현 경제 상황과 부동산 정책(대출.투기.보유세 규제) 등에 따른 것으로 당연해 보입니다

http://yulhain.net/bbs/board.php?bo_table=com_free&wr_id=6555

ㄴ님의 댓글

아이피
작성일 | 신고
2017년 입주아파트 숫자도 포함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분양권거래""

5월은님의 댓글

5월은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연휴와 대통령선거가 있어서 거래량이 적었던것 같아요
5월에는매매내놓은 집을 거의 보러오지 않다가 6월되니 많이 보러 왔었거든요

율하님의 댓글

율하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율하1지구  어떤가요?  가격적으로 지금 괜찮은가요  양산 분양권 팔고 율하 갈까생각중인데 지금 매수 괜찮겟쵸 ?1지구가  저는 더좋턴데
  • RSS
커뮤니티 / 60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


+ 자유게시판


+ 새댓글(자유게시판)


+ 토론


+ 새댓글(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