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커뮤니티

가계부채가 무너지는 증거6....가계·기업·국가 모두 빚더미… 1인당 부채 1억 초과, GDP 3.4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용오름 아이피 조회 591 댓글 9
작성일

본문

앞에서 여러자료를 올려드렸는데, 미국의 투자그룹 CME그룹  자료에서 정부, 기업, 개인의 총부채가 GDP의 235%가 넘어가면

 "국가부도의 싹"이 튼다고 자료를 올려드렸는데, 한국은 2015년에 이미 총부채가 5천600조원으로 GDP대비 340%(3.4배)에 이르기

때문에 이미 앞에서 여러자료를 올려드렸듯이, 이미 부채로 인하여 여러곳에서 무너지는 증거를 올렸듯이 경험치를 분석한 CME그룹

에서 정리한 자료를 보면, 한국은 또 한번의 IMF, 제2의 IMF가 올것으로 예상되니, 대비를 잘 하시길 바랍니다.

 

빚내서 집 사고, 기업운영과 나라살림도 빚 의존
우리나라의 가계·기업·정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국민(약 5천160만 명) 1인당 빚이 1억 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부채를 관리할 수 있고 재정건전성도 양호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부채 증가속도가 너무 빠른 데다 향후

복지지출 확대를 피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다.

총부채 5천600조 추산… GDP 3.4배
국회 예산정책처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가계·기업·정부의 부채는 작년 기준 약 5천600조 원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1조4천351억 달러(약 1천633조 원)의 3.4배 규모이다.
가계부채는 2013년 2분기부터 11분기 연속 최고액을 경신하고 있다. 2013년 1천조 원을 돌파했고 작년에는 1천200조 원도
넘어섰다. 올해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1.4% 늘어 1천223조7천억 원을 기록했다.
 
기업부채는 작년 1분기 현재 2천347조 원에 달한다. 금융권 대출, 회사채, 기타 채무를 합산한 액수이다.
올해 1분기 기업의 은행대출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6.6% 늘어난 959조 원으로 연내 1천조 원 돌파가 점쳐진다.
나라살림도 ‘빚더미’다. 지난해 국가채무는 590조5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10.7% 증가했다.
하지만 군인·공무원 연금의 충당부채 660조 원, 공공기관 부채 505조5천억 원, 국책은행 부채 347조 원을 합산한 광의의
나라 빚은 2천103조 원에 달한다.
 
160806120803_894427_2.jpg
 
이자 버거운 한계가구·한계기업 급증세
빚이 왜 이리 늘었을까? 가계부채는 저금리에 따른 전세물건 실종으로 빚을 내 집을 사는 가구가 늘어난 탓이다.
수익이 줄어든 기업들은 빚을 내 근근이 버티고 있다. 정부는 내수부양과 복지예산을 세수만으로 감당하기 힘들어 중앙은행
발권력으로 상당부분을 채우고 있다.
 
문제는 부채의 질과 전망이 나쁘다는 점이다. 금융자산보다 부채가 많고 원리금상환액이 가처분소득의 40%가 넘는 ‘한계가구’가
지난해 158만3천 가구로 3년 새 20% 가까이 뛰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에서 한계가구 비중은 12.3%에서 14.8%로 2.5% 포인트 늘어났다.
정부가 올 2월부터 은행 여신심사를 강화했지만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으로 대출수요가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3월 기준 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8.5%였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1.4% 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반면 2금융권의 기타대출 증가율은 11.7%로 작년 동기 대비 2.2% 포인트 올랐다.
 
기업부채도 비슷한 상황이다. 한은에 따르면 작년 기준 외부감사 대상기업(2만4천392개) 가운데 한계기업(3천278개) 비중은
14.7%에 달한다. 전년보다 0.4%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기업을 뜻한다.
정부는 아직 재정이 건전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작년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치(115.2%)보다 훨씬 낮은 37.9%였다.
하지만 빚이 너무 빨리 늘고 있다. 2000~2013년 국가채무 연평균 증가율은 미국 9.1%, 프랑스 6.8%, 일본 3.6%였지만
우리나라는 12.3%나 된다.
 
160806120803_894427_3.jpg
 
금리카드 ‘그림의 떡’… 정책수단 한계
전문가들은 고령화에 따른 복지예산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므로 정밀한 부채 관리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의 고령화 관련 정부지출액이 작년 GDP 대비 7.7%에서 2050년에는
17.8%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내수를 살리고자 최근 3년 새 3차례에 걸쳐 총 38조 원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했다.
서울대 류근관 경제학부장은 “정부가 추경, 건설경기 부양 등 단기처방을 연이어 내놨지만 가계부채만 빠르게 증가했다”며
“조급하게 예산을 풀 게 아니라 장기적 안목으로 경제구조 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채 증가에 제동을 걸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도 없다는 게 정부의 고민이다.
지금도 이자감당이 어려운 한계기업과 한계가구가 와르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과다부채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중심으로 가계소득 증대와 부채구조의 개선에 신경 써야 한다”
며 “한계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금융시스템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시적이고 선제적인 기업 구조조정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우선.. 지난 정부의 정책으로 이러한 상황을 만든 이유는 뭘까요? 원인파악 후 대처해야...
경제를 살린다고 외친 지난 9년간 정부의 결과 아닌가요?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1. 정부(과거)는 부채를 관리할 수 있고 재정건전성도 양호하다는 입장이다.
2. 가계부채는 저금리에 따른 전세물건 실종으로 빚을 내 집을 사는 가구가 늘어난 탓이다.
3. 정부(과거)가 추경, 건설경기 부양 등 단기처방을 연이어 내놨지만 가계부채만 빠르게 증가했다.
4. 한국은행은 '과다부채가구와 저소득가구를 중심으로 가계소득 증대와 부채구조의 개선에 신경 써야 한다' 며
'한계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금융시스템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상시적이고 선제적인 기업 구조조정 노력을 강화'를 지적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위와 같이 현 경제 상황을 만든 것은 지난 정부와 과거 9년간의 정책에 따른 결과로 보여 집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이러한 경제 상황을 방치할 수 없어 새롭게 출법한 정부는 불안요인을 파악해 합리적인 정책(투기규제.후분양.등) 등을 펴야 할 것입니다.

영자야님의 댓글

영자야 아이피
작성일 | 신고
댓글 그리 달고도
니가 생각해도 뻘쭘하제

용오름아 니네 집이나 걱정해라!님의 댓글

용오름아 니네 집이나 걱정해…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속보야 니네 집이나 걱정해라
다들 니보다 갚을 능력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야.. 오늘도 주가는 상승 중이란 답변으로 갈음 합니다.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운영자 양반...여기에 로그인하고 들어가는 Ip의 이름하고...아무나 등록해서 사용하는 이름하고 중복이 안되도록 프로그램
수정해야 똑같은 이름을 안쓰지 않겠어??  이런 것도 내가 이야길 해야하나??
아예 안되면 내가 프로그램 짜줄까요?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주식이 하반기 까징 상승한다네요
  • RSS
커뮤니티 / 22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


+ 자유게시판


+ 새댓글(자유게시판)


+ 토론


+ 새댓글(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