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커뮤니티

[빚의 굴레] 가계부채 느는데… 갚을 능력은 사상 최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용오름 아이피 조회 947
작성일

본문

가계부채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1360조원 이지만, 국제기준으로는 비영리단체의 부채를 포함하여 1566조원이라는 것을

정부에서는 국제기준을 외면하고...축소하여 항상 말하고 있지만, 사실은 이미 한계점을 넘었고, 늘어난 부채에 비하여 갚을

능력은 사상 최악으로서 가계소득대비는 179% 수준이고, 국가GDP대비는 95%를 넘은 수준이기에 이제는 어떠한 방식으로

축소를 하던, 규제를 하던 별로 해결방안이 없을 것같고...개인들의 입장에서는 현금성 자산으로 대비가 우선입니다.

 

 

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 180% 육박… "최근 4년간 빚 증가 규모, 소득의 2.7배"

가계 빚은 빛의 속도로 늘어나는데 소득은 증가 폭이 크지 않아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이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8일 한국은행과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 등에 따르면 한은 자금순환동향 통계의 가계부채(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 포함)는

지난해 말 1천565조8천10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5년보다 10.0% 증가한 규모다. 

한은 국민계정의 개인순처분가능소득(가계소득)은 지난해 875조3천659억원으로 전년보다 4.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78.9%로 전년보다 10%포인트 급등했다.
제 의원은 "지난해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사상 최고치로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가계부채 비율은 2005년부터 12년째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은 국가 간 가계부채 수준과 상환 능력을 비교할 때 자금순환동향 통계의 가계부채와 국민계정의 개인

순처분가능소득을 활용한다.
제 의원은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가계부채는 410조8천485억원, 가계소득은 151조138억원 각각 늘어나 부채 증가 규모가 소득의 2.7배에

달했고 이는 가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급격한 악화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가계부채는 2012년 말 1천154조9천615억원이었고 같은 해 말 가계소득은 724조3천521억원이었다. 
또 경제 규모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95.6%까지 증가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5%를 넘었다는 것은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최종 생산물을 팔아 가계 빚을 갚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는 얘기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큰 나라보다 높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가 성장과 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로, 미국(79.4%), 유로존(58.7%), 일본(62.2%),

영국(87.6%)보다 높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가계대출 규제보다는 소득 증가를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커뮤니티 / 28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


+ 자유게시판


+ 새댓글(자유게시판)


+ 토론


+ 새댓글(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