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커뮤니티

자가점유율 - 2016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아이피 조회 1,513 댓글 12
작성일

본문

자가점유율은 2008년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다 2014년 이후 증가함.

 

2006년.. 55.6%

2008년.. 56.4%

2010년.. 54.3%

2012년.. 53.8%

2014년.. 53.6%

2016년.. 56.8%

 

※ 무단복제를 절대 금합니다.
율하인 - http://yulhain.net
코리아랜드 - http://korealand.net

관련자료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결국 소득수준도 안되는 1~3등급의 가계가 박근혜정부의 초이노닉스의 핵심도 모르고, 올라가니, 덩달아서 매수에, 청약에 가담한
불쌍한 서민들이다 보니, 자가점유율이 높아졌죠. 사실 1~2등급은 자가주택율이 거의없거나 낮아야 되는데, 한국은 상대적으로
높기에 그분들이 빚을 못갚게 되어, 결국 한계가구가 200만 가구에 이르게 되었지요. 이제는 정부에서도 더이상 용빼는 재주가
없거니와, 가계부채 총량제로, 소득대비 150%를 유지하고자 이미 가이드라인을 랬음에도 이미 190%에 도달했기에 별 대책이
없지 싶어요. 앞으로는 구조조정만이 잇을 뿐입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지난 2016년 하반기.. 새해 2017년초부터 폭락할 듯한 예측이 아니였나요?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운영자님, 2015년도에 3년내에 폭락한다고 이야길 올렸는데요.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2015년 당시 매도한 매물의 2017년 현재 시세는 어느 정도 인가요?
당시 매매가를 하회하고 있나요? 아니면 상회하고 있나요? 아니면 대 폭락하였나요?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운영자님, 코앞의 시세가 중요한가요? 앞으로 아비규환이 기다리는데 ㅎㅎㅎ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2015년 당시 매도 보다 2016년 매도가 합리적 아닌가요? 또한 2017년.. 2018년.. ... 시점은..?
그리고 아비규환이 오면 또다시 매수하려는 수요도 있으니 아이러니 하네요.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자, 현재 190%수중의 가계부채를, 앞으로 가계부채를 소득대비 150%으로 가이드라인을 맞추면, 현재도 매달 10조씩 돌아오는 것은 물론,
정규은행에서는 대출이 안되--->제2금융권으로 몰려--->이마저도 안되면 대부업체로 몰리죠. 30% 를 줄이는 가이드 라인은 매달 10조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근 284조원을 줄여야 하는데, 어찌 아바규환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경제 여건(상황)도 중요하지만 변수인 정책도 중요한 요소라고 누차 알려 드렸습니다.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운영자님은 기본적인 현재나와있는 수치에 대해서는 말이없고, 여기서부터 문제가 터지는데도, 경제여견, 상황, 변수 등
조금 뜬 구름잡는 말씀만 하시니, 보기에 안타까울 뿐입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대비 없는 초과 소유 욕심에 따른 결과일 뿐 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고 있는 건 아닌지 반문 드립니다.

오름이님의 댓글

오름이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아니라내림이
순실이돈국고에환수되면돈차고넘침
닌왜걱정을하지?
지만잘살려고이지랄하면서..^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자원외교 등 관련도 있습니다.
  • RSS
커뮤니티 / 24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


+ 자유게시판


+ 새댓글(자유게시판)


+ 토론


+ 새댓글(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