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2009~2016

기준금리 1.25% - 2016.11.1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아이피 조회 815 댓글 2
작성일

본문


  2016년 11월 11일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1.2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음.

통화정책방향..

세계경제를 보면, 미국은 회복세를 지속하고 중국은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며 유로지역도 미약하나마 개선 움직임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세계경제는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신정부 정책방향,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 신흥시장국의 경제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하였으며, 내수는 개선 움직임이 다소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고용 면에서는 취업자수가 증가하면서 고용률이 전년동월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며, 실업률은 다소 높아졌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세계경제의 회복과 함께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나 최근 대내외 여건의 변화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10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기료 한시 인하 종료 등으로 전월의 1.2%에서 1.3%로 높아졌으며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전월의 1.3%에서 1.5%로 상승하였다.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확대되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저유가의 영향 약화 등으로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이후 금융시장에서는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 강화, 미 대선 결과의 영향 등으로 장기시장금리와 원/달러 환율이 큰 폭 상승하였으며 주가는 하락하였다. 원/엔 환율은 소폭 하락하였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예년 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 접근하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과 그 영향,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다.


  ※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대한민국 부동산 커뮤니티'  코리아랜드 - http://korealand.net 

관련자료

용오름님의 댓글

용오름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소득은 1% 안팎으로 오르는데, 빚은 11%오르는데 어떻게 감당할지 앞이 캄캄하내...
가면 갈수록 암담하고, 이럴 때 순실접신을 하던 말던 그대로 두어서 경제를 제대로
정리하도록, 부총리부터 임명하던지, 그대로 두어서 일하게 해야 하는데...
그나라의 그국민이요, 그국가의 그관료요, 대통령입니다.

서울사람~님의 댓글

서울사람~ 아이피
작성일 | 신고
장유 집값얼마한다고 서울이나걱정이지 푼돈가지고  웃지방사람 어이상실
  • RSS
2009~2016 / 3페이지

+ 신규매물


+ 새댓글


+ 최근글


+ 구인구직